Implicit(암시적) intent? 활성화할 패키지명과 component 명 없이 component 의 동작 만으로 활성화. Component 의 이름을 대지 않았지만, 수행할 동작(작업)을 선언하여 또 다른 앱의 component 가 이를 처리할 때 쓰임. 예를 들어, 카톡을 하다 URL link 를 click 할 경우 브라우저가 해당 URL 을 처리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. Implicit intent 수신 ◼ Intent filter Implicit intent 에 사용하며 외부에서 해당 component 를 활성화 할 조건을 명시함. 하단과 같이 implicit intent 대상을 manifest 에 선언하여 해당 component 가 tag 안에 있는 내용을 처리할 수 있다고 android s..
Explicit(명시적) intent? 활성화할 패키지명과 component 명을 정확히(명시적) 지칭하여 component 를 활성화. 일반적으로 본인의 앱 안에서 구성 요소를 시작할 때 쓰임. (시작하고자 하는 액티비티 또는 서비스의 클래스 이름을 알고 있기 때문) 예를 들어, 사용자 작업에 응답하여 새 액티비티를 시작하거나 백그라운드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 등이 여기에 해당. Explicit intent 로 외부 패키지 활성화 아래와 같이 서로 다른 패키지의 activity 를 활성화 할 때 쓰임. - com.parkho.intent1 패키지에서 com.parkho.intent2 의 TestActivity 를 실행 만약, 해당 option 이 없었다면 아무 패키지의 act..
Intent? 각 component(Activity, Service, Broadcast receiver) 에서 특정 component 를 실행해 달라고 요청할 때 사용되는 정보로 일종의 메시지 객체. - 필요한 activity or service 를 실행 할 때 사용. - 특정 이벤트 발생을 다른 앱들에게 알릴 때 사용. - Web browser 를 연동하거나 전화걸기 를 연동할 할 때 사용. Intent 내용 Component 에서 특정 component 를 실행할 때 ActivityManager 에게 특정 component 를 실행해 달라고 요청하는데 이때 intent 를 사용하여 하단의 정보를 제공한다. - 활성화 될 component 정보(이름) - 활성화 될 component 에 전달할 데이터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android activity flag
- BroadcastReceiver
- WEMIX
- M2E
- task
- StringUtils
- android task
- Intent
- task 생성
- 안드로이드 인텐트
- notifyDataSetChanged
- onContextItemSelected
- Android Service
- 앱테크
- mPANDO
- RoomDatabase
- android flag activity
- 무료채굴
- android intent
- registerForContextMenu
- 무료 채굴
- bindservice
- onCreateContextMenu
- 앱테크 추천
- 리워드 어플
- 안드로이드 서비스
- StartService
- p2e
- 리워드앱
- 채굴앱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